가방을 매다 메다 맞춤법 구분
가방은 매는 걸까요, 메는 걸까요? 저도 순간적으로 헷갈리는 '매다'와 '메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것 정말 공부를 해도 해도 확신을 가지고 쓰기 어려운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가방을 메는 것과 넥타이를 매는 것 정말 헷갈리죠. 게다가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말이기도 하고요. 오늘 확실하게 구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듭을 매다.
오늘 결론은 이겁니다. 매듭을 매다. 끈을 묶는 뉘앙스는 '매다'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문장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매듭이라는 단어의 맞춤법을 흔들리지 않는다는 전제가 필요하겠네요. '매다'와 '메다'는 아무래도 내용을 더 꼼꼼히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매다
1.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1-1. 끈이나 줄 따위로 꿰매거나 동이거나 하여 무엇을 만들다.
1-2. 끈이나 줄 따위를 몸에 두르거나 감아 잘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1-3. 달아나지 못하도록 고정된 것에 끈이나 줄 따위로 잇대어 묶다.
1-4. 끈이나 줄 따위를 어떤 물체에 단단히 묶어서 걸다.
2. (주로 '목'을 목적어로 하여) (비유적으로) 어떤 데에서 떠나지 못하고 딸리어 있다.
3. 논밭에 난 잡풀을 뽑다.
매다를 사전에 검색해 보면 위의 의미 외에도 몇 가지가 더 나올 겁니다. 하지만 잘 쓰이지 않는 의미라서 생략했고요. '매다'에 우리가 실제로 사용할 법한 의미만 담아보았습니다. '매다'에는 끈으로 묶는 뉘앙스 / 목을 매다 / 논을 매다 이 세 가지만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묶는 행위는 '매다'로 전부 기억하시면 되고 특히 주의할 것은 2번인데 비슷한 형태로 쓰이는 '메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의미를 잘 보셔야 합니다. 2번의 의미는 떠나지 못하고 계속 엮여 있는 의미입니다. 아래 예문으로 보시면 파악이 되실 겁니다. 3번도 요새 쓸 일이 잘 없긴 하지만 그래도 알아는 두셔야 하니 읽어만 보시고요.
1. 운동화 끈을 다시 매야겠다. 우리는 밧줄을 허리에 매고 서로를 단단히 고정했다. 가게에 들어가기 전 강아지를 기둥에 단단히 맸다. 나무에 그네를 매다. 아직 넥타이 맬 줄 몰라. 2. 너는 왜 이렇게 그 일에 목을 매는 거야? 그렇게 목을 매더니 이제는 심드렁하네. 3. 김을 매다. 콩밭을 매다. |
예문으로 보니 2번의 의미는 확실히 아시겠죠? 끈이나 줄, 목을 매며 엮이는 일, 논밭을 매는 일 이 세 가지로 정리가 되는 '매다'였습니다.
▷메다
1.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2. 어떤 감정이 북받쳐 목소리가 잘 나지 않다.
3. 뚫려 있거나 비어 있는 곳이 막히거나 채워지다.
'메다'에도 의미가 꽤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찾아보면 다른 의미가 더 있지만 자주 사용되는 것, 헷갈리는 의미만 나열했습니다. 나타내는 의미가 서로 많다 보니 우리가 특히나 어렵게 느끼는 것이겠죠. '메다'에는 들쳐 업는 뉘앙스 / 목소리가 안 나오고 목이 막히는 뉘앙스 정도로 정리하시면 되겠습니다. 사실 1번에서 확장된 의미로 어떤 책임을 지거나 임무를 맡는다는 의미도 같이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것도 예문으로 따로 보겠습니다. '목이 메다'와 '목을 매다' 구분해 주시고요. 예문으로 다양하게 살펴볼까요?
1. 무거운 배낭을 메고 오르려니 더 힘들다. 총대를 메다. 우리나라의 장래를 메고 나갈 사람이다. 2. 나는 너무 기뻐 목이 메었다. 가슴이 메어 말을 잇지 못했다. 3. 밥을 급히 먹느라 목이 멘다. 고구마를 먹고 목이 메었다. |
'매다'와 '메다' 구분, 조금 어려우셨죠? 목과 함께 쓰이는 것도 각각 있어 더 어려우셨을 것 같습니다. 위에서 제가 말씀드린 '매듭을 매다'도 헷갈리실 것 같으면 글자 모양 자체로 기억하세요. 매다의 '매', 'ㅐ'는 생김새가 기둥 두 개 사이를 -로 묶어 연결한 모양이죠. 그러니 '매다'는 끈과 함께 쓰이는 겁니다. 혹은 메다의 '메', 'ㅔ'는 -가 한쪽에 있어 옆의 두 막대기ㅣ를 업고 있는 모양이고요. 이런 식으로 연상법으로 기억하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편한 것 하나를 택해 헷갈리지 않게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가장 많이 헷갈리는 끈은 매고 어깨에 멘다는 것 기억하시면서 같이 딸린 다른 의미들까지 추가로 알아두시면 금상첨화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