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맞춤법2

일사분란 일사불란 맞는 말은? 맞춤법 구분 '일사분란'과 '일사불란' 중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요? 우리가 흔히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다'라는 표현을 많이 쓰죠. 이때 발음은 '불란'이지만 쓸 때는 '분란'이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일사불란'이 맞는 표현 우리의 느낌과는 다르게 '일사불란'이 맞는 말입니다. '일사분란'이라는 말은 없는 말이에요. 이 경우 한자를 살펴보면서 공부하면 훨씬 잘 와닿겠죠? ▷일사불란(一絲不亂) : 한 오리 실도 엉키지 아니함이란 뜻으로 질서가 정연하여 조금도 흐트러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한자를 풀어서 해석한 것을 이해하고 있으면 '불'과 '분'이 헷갈릴 일이 없을 겁니다. 일 : 一(하나 일) 사 : 絲(실 사) 불 : 不(아니 불) 란 : 亂(어지러울 란) 하나의 실도 어지럽지.. 2024. 3. 15.
맞추다 맞히다 맞춤법 구분 맞추다, 맞히다는 우리가 발음할 때도 확실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맞춤법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시험 문제를 맞추는 걸까요, 맞히는 걸까요? 이 두 단어도 모두 존재하는 말이기 때문에 각각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상황에 따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맞히다 : 맞다의 사동형. 답이 맞다, 비를 맞다, 안 좋은 일을 맞다, 주사를 맞다, 공에 맞다의 행위를 당하는 경우.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 표현이라는 것만 눈여겨보면 문맥에 따라 구분하기가 굉장히 쉬워집니다.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맞추다 1.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 2. (주로 '보다'와 함께 쓰여)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3. 서로 어긋남이 없이 조화를 이루다. 4. 어떤 기준이나 정도.. 202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