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서로 비슷한 의미를 품고 있는 유래와 유례, 전래와 전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각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발음은 비슷하지만 문맥을 파악해서 정확한 단어를 써야 합니다.
(유례/유래) 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
(전례/전래) 없는 일이다.
어느 것이 맞는 단어일까요? 의미만 확실히 알고 있으면 전혀 어려울 것이 없는 맞춤법입니다. 아래 내용 모두 읽어보시고 정답을 찾아보시죠.

▷유래 / 유례
유래(由來) : 사물이나 일이 생겨남 또는 그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
유례(類例) : (주로 없거나 적다는 뜻의 서술어와 함께 쓰여) 같거나 비슷한 예. 이전부터 있었던 사례.
유래(由來)는 한자로 보면 말미암을 유(由) 자에 올 래(來) 자를 씁니다. 무엇으로부터 말미암아 온다는 의미로 생겨난 바, 즉 생겨난 원인에 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유례(類例)는 이전부터 있었던 사례, 예시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례'라는 말에서 '예시, 사례'를 떠올리면 되겠죠. 여러 가지 예문으로 감을 좀 더 익혀보겠습니다.
이 일은 정말이지 유래를 찾기 힘들다. 한식의 유래 이곳의 지명은 재배되던 작물에서 유래하였다. 대부분의 과학기술은 서양에서 유래했다. 이번 폭발 사건은 역사상 유례가 없는 참사로 기록될 것이다. 우리 경제는 그동안 유례가 없을 정도로 성장해 왔다. 유례없는 물폭탄을 맞은 주민들이 피신해 있다. 이렇게 많은 관중이 입장한 것은 유례가 없는 일이다. |
▷전래 / 전례
전래(傳來) :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옴. 외국에서 전하여 들어옴.
전례(前例) : 이전부터 있었던 사례.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일 처리의 관습.
전래(傳來)는 전할 전(傳)에 올 래(來) 자를 써서 전하여 내려온다는 의미를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전래 동화라는 단어로 이미 그 의미는 익숙하시죠?
전례(前例)의 전은 앞 전(前) 자이기 때문에 이전의 사례, 이전의 관습을 의미합니다. 한자로 익히면 훨씬 수월하죠. '과거'의 뉘앙스가 있는 단어입니다.
전래 동요 전래 동화 이 도자기는 우리 집안 전래로 전해져 내려오는 가보이다.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한자가 전래된 것은 아주 오래전이다. 산업 혁명 이후 경제는 역사상 전례 없는 풍요를 가져다주었다. 우리는 그런 전례가 없는 사람들이야. 전례를 깨다. |
다시 한번 각 단어의 의미를 정리해 볼까요?
유래(由來) : 일이 생겨난 원인
유례(類例) : 이전에 있었던 예
전래(傳來) :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옴
전례(前例) : 이전에 있었던 사례
한자를 생각하면 그 의미를 파악하기가 훨씬 쉽습니다. 아이들이 어휘력을 위해 한자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어른도 마찬가지지만요. 기억하기 쉽게 문장으로도 만들어볼까요?
이름의 유래를 찾아보다가 전례 없는 식량난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오랫동안 전래된 이야기들은 유례없는 낭설이 아니다.
전래와 전례는 발음할 때 [절래], [절례]가 된다는 것은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되겠죠. 한 가지 더 말씀드리면 '유례없다'라는 말은 합성어로 사전에 등록된 말이기 때문에 붙여서 써야 합니다. 항상 합성어가 복병이죠. 전례 없다는 한 단어가 아니지만 유례없다는 한 단어라는 점도 같이 알아두시면 더욱 수준 높은 띄어쓰기를 구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유래와 유례, 전래와 전례 각각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띄어쓰기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붇다 붓다 불다 맞춤법 구분 (1) | 2024.02.26 |
---|---|
개다 게다 맞춤법 구분 (0) | 2024.02.23 |
심란하다 심난하다 맞춤법 구분 (0) | 2024.02.21 |
싣다 실다 / 싣어 실어 맞춤법 구분(ㄷ불규칙용언) (0) | 2024.02.20 |
뱃속 배속 / 가슴속 가슴속 / 머릿속 머리속 맞춤법 (0) | 2024.02.19 |